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스마트 도시(Smart-City) 개발사업

스마트 도시는 스마트 플랫폼을 갖추어 스마트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도시에서 IT기술을 사용하면서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설계된 도시를 의미합니다. 스마트 도시는 오래된 도시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도시재생사업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스마트 도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 도시(Smart City)

 

 

스마트도시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더불어 빅데이터 솔루션, 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도시입니다. 스마트 도시는 전기, 수도, 학교, 항만과 같은 도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여기에 IOT기술을 접목해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해 스마트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좀 더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합니다.

 

정부도 스마트 도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2017년 4차산업혁명  위원회를 개설하고 대통령의 지휘 하에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를 만들었습니다.

 

스마트 도시 사업

 

 

정부가 추진중인 스마트 도시 관련 사업으로 크게 3가지가 있는데요.

 

1. 국가 시범도시 건설

정부에서는 세종과 부산을 후보지로 선택하고 이 지역을 시범지구로 만들 계획입니다.

 

2. 도시재생사업 추진

정부는 스마트 도시 기술을 적용해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예정인데요. 스마트기술을 활용해 치안확보를하고 노인들을 위한 인프라, 자율주행차와 같은기술을 접목하여 몸이 불편하거나 경제적으로 낙후된사람들이 편리하게 살수있도록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3. 스마트도시기술 해외 수출

이러한 우리나라의 고유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정부는 스마트 도시 기술을 해외에 수출할 예정인데요. 이를 통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이 우리나라의 최첨단 기술을 도시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추진 중입니다.

 

스마트 도시 & 인구감소

 

 

정부에서는 스마트 도시 관련 사업을 확정하려고 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이는 바로 우리나라 인구감소에도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전국 시, 군, 구 228개 기준 소멸 위험지역은 105개이고 이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인구 급감으로 인해 지역이 소멸하게 되면 지방 제조업에 위험을 끼치고 결국 지역경제 쇠락과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 소멸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스마트 도시를 개발하고 운영하여 보다 젊은층들이 골고루 지역에 나누어져 살수있게 만드는데 목적도 있습니다.

 

스마트도시 개발사업은 미국에서도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항인데요. 미국 동부에 위치한 매사추세츠주의 주도인 보스턴은 도로파손 현황 정보를 시민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정보수집, 분석하고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